2007년 5월 30일 수요일

피어슨 상관계수(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)

1. 정의
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구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척도입니다.

2. 상관계수 해석
1) 상관계수 r은 -1≤r≤+1의 값을 갖고
2) 측정된 자료가 좌표 상에 양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에 가깝다면 즉, x가 증가할 때 y도 증가하면 그 때의 상관계수는 양(+)이고 음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에 가깝다면 음(-)의 상관계수를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.
3) 선형의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 경우 상관계수는 0에 가까워지게 됩니다.

3. 해석시 주의사항
주의할 것은 상관계수가 0이라는 것은 ‘선형의 상관관계가 없다’는 것 뿐이지 두 변수간에 관계가 전혀 없다는 뜻은 아니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.


4. 판단기준
일반적으로 상관계수가
0.70~0.80이면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,
0.50~0.60이면 보통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,
0.40 이하면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댓글 없음: